2009. 2. 13. 04:43ㆍ그림과 멋 (십장생도등)
문자도
문자도는 삼강오륜의 교훈적이고 길상적인 뜻을 지닌 문자를 통해
소망하는 것을 이루고자 하는 의도에서 제작된 그림이다.
'제 '그림에는 산앵두나무의 많은 꽃이 서로 융화하듯이 형제간에 화합하며,
항상 분주하게 움직이는 할미새처럼 형제에게 급란이 생길 때 기민하게 도와야 한다는 내용을 그려 넣는다.
'충' 그림에 나오는 잉어는 등용문 설화와 관련되어 높은 관직에 올라 나라에 충성한다는 뜻이며,
새우나 조개는 그 발을과 관련하여 화합을 의미하고, 또 단단한 껍질에 싸여 있어 굳은 지조를 나타낸다.
'신' 그림에는 파랑새와 흰기러기가 편지를 입에 물고 있는데,
이 새들이 물고 있는 편지는 언약과 믿음을 상징한다.
'예 '그림에는 하도낙서 고사와 관련되어 등에 책을 지고 있는 거북이가 등장한다.
'의' 그림에 나오는 복숭아꽃은삼국지의 유비, 관우, 장비가 의롭게 살기를 맹세하고
의형제를 맺었던 장소인 도원을 상징하며, 두 마리으 새는 의로움을 상징한다.
'염' 그림은 청렴과 절제를 상징라는 봉황과 세상에 나설 때와
물러날 때를 알아 처신하는 현명함을 암시하는 게가 그려진다.
'치' 그림에는 매화꽃과 함께 토끼가 방아를 찧고 있는 달이 그려진다.
이것들은 은둔의 세계를 상징하는 것이다.
효제도 이외의 문자도로서 배수백복도는 수자와 복자를 수많은 형태로 반복해서 그려 상서로움을 증폭시킨 그림이다.
'그림과 멋 (십장생도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畵題 四 君 子. 山 水. 漢 詩 (0) | 2009.02.13 |
---|---|
십장생(十長生) (0) | 2009.02.13 |
[스크랩] 수복문자도 (민화) (0) | 2009.02.13 |
[스크랩] 수복문자도 (민화) (0) | 2009.02.13 |
[스크랩] 파인민화 (0) | 2009.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