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이론(38)
-
노정서결 2018.04.19
-
[스크랩] 안진경 쟁좌위고 해석
顔眞卿爭座衛稿 764년에 안진경이 정양군왕(定襄郡王) 곽영부(郭英父)에게 보낸 편지인데, 그 내용은 좌위(座位:官品)를 논한 것이라서 '논좌위첩(論座位帖)'이라고도 하며 '여곽복야서(與郭僕射書)'라고도 한다. 당시 상서우복야(尙書右僕射) 정양군왕이던 곽영부가 조정의 신임을 기화..
2013.12.17 -
孫過庭 書譜
《書譜》釋文 夫自古之善書者,漢魏有鍾、張之絕,晉末稱二王之妙。王羲之云:「頃尋諸名書,鍾張信為絕倫,其餘不足觀。」可謂鍾、張云沒,而羲、獻繼之。 대저 자고로 서를 선(善잘)한 자로는 漢魏때에 종요(鍾繇)와 장지(張芝)서예의 절(絶빼어남)이 있고 晉末에는 2..
2013.12.17 -
[스크랩] 124. 두몽『述書賦』語例字格 3 - 담쟁이에게 묻는다
담쟁이에게 묻는다 줄기면 줄기 가지면 가지 끝 모를 곳을 향하여 가는 대로 터를 삼고 뻗는 대로 집을 삼아 하루는 흔들리고 하루는 생각하며 그 너른 허공을 송두리째 차지한 저 당당한 감나무를 보면서 담쟁이에게 묻는다. 꼭 담이어야 했는가? 의지해야만 뻗을 수 있는가? 能 千種風流曰能. 능 천 ..
2011.05.23 -
[스크랩] 서원교필결후 설명
출처 : 서예 포럼 묵경글쓴이 : 전선수과 원글보기메모 :
2009.12.25 -
[스크랩] 팔병(八病)
용필(用筆)이 법도(法度)에 맞지않아 이루어지는 여덟가지 병태(病態)로써, 元의 이부광(李溥光)의 설암팔법(雪庵八法)중에 팔병설(八病說)이 라고 나와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우두(牛頭) : 기필(起筆)을 너무 무겁게 하고 반복하여 그어서 소의 머리와 같음. 2. 서미(鼠尾) : 운행(運行)이 끝에 이..
2009.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