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팔병(八病)
2009. 8. 29. 21:44ㆍ서예이론
반응형
용필(用筆)이 법도(法度)에 맞지않아 이루어지는 여덟가지 병태(病態)로써,
元의 이부광(李溥光)의 설암팔법(雪庵八法)중에 팔병설(八病說)이 라고 나와있는데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우두(牛頭) : 기필(起筆)을 너무 무겁게 하고 반복하여 그어서 소의 머리와 같음.
2. 서미(鼠尾) : 운행(運行)이 끝에 이르도록 힘이 약하고 획이 가늘어 쥐꼬리와 같음.
3. 봉요(蜂腰) : 한획의 처음과 끝은 너무나 무거운 데에 반하여 중간은 매우 작아 벌의 허리와 같음.
4. 학슬(鶴膝) : 필획의 양단이 가볍고 중앙(中央)은 두툼하여 학의 다리모양과 같음.
5. 죽절(竹節) : 중앙의 필획은 약한데 양단은 둥글게 불룩하게 나와 대나무 마디와 같음.
6. 능각(稜角) :필획을 말끔하게 처리하지 못하여 모서리가 툭 튀어나온 것
7. 절목(折木) : 나무를 꺾어놓은 것처럼 잘라놓은 면은 없고 솔과 같은 모양이 드러난 것
8. 시담(柴擔) : 물건을 메어 너무 휘어있는 모양으로 중앙은 높으나 양쪽 끝이 낮거나 혹 은 중앙이 낮은데 양단이 높은 것
수산복해(壽山福海):산 같은 수명과 바다 같은 복이라는 뜻
출처 : 석산 강창화
글쓴이 : 영롱한 먹빛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
'서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124. 두몽『述書賦』語例字格 3 - 담쟁이에게 묻는다 (0) | 2011.05.23 |
---|---|
[스크랩] 서원교필결후 설명 (0) | 2009.12.25 |
[스크랩] 고구려 서풍의 특징과 독창적 미의식 (0) | 2009.08.27 |
[스크랩] 서예사에서 추사의 위치 (0) | 2009.08.02 |
[스크랩] 비초서 (조일) 1 (0) | 2008.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