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5. 23. 13:53ㆍ서예이론
담쟁이에게 묻는다
줄기면 줄기
가지면 가지
끝 모를 곳을 향하여
가는 대로 터를 삼고
뻗는 대로 집을 삼아
하루는 흔들리고
하루는 생각하며
그 너른 허공을 송두리째 차지한
저 당당한 감나무를 보면서
담쟁이에게 묻는다.
꼭 담이어야 했는가?
의지해야만 뻗을 수 있는가?
能 千種風流曰能.
능 천 가지 풍류를 ‘능’이라 한다.
妙 百般滋味曰妙.
묘 백 가지 자미를 ‘묘’라 한다.
精 功業雙極曰精.
정 공과 업, 둘이 다한 것을 ‘정’이라 한다.
古 除去常情曰古.
고 일상적인 정을 제거하는 것을 ‘고’라 한다.
逸 縱任無方曰逸.
일 방종하고 마음대로 함이 끝이 없음을 ‘일’이라 한다.
高 超然出衆曰高.
고 초연하여 무리에서 뛰어남을 ‘고’라 한다.
偉 精彩照射曰偉.
위 정묘한 신채가 비추고 쏘는 것을 ‘위’라 한다.
老 無心自達曰老.
노 마음 없이 스스로 달하는 것을 ‘노’라 한다.
喇 超能超妙曰喇.
나 능함을 뛰어넘고 묘함을 뛰어넘는 것을 ‘나’라 한다.
嫩 力不副心曰嫩.
눈 힘이 마음에 버금가지 않는 것을 ‘눈’이라 한다.
薄 闕于圓備曰薄.
박 원만하게 갖춤에서 빠진 것을 ‘박’이라 한다.
强 筋力露見曰强.
강 근과 힘이 드러나 보이는 것을 ‘강’이라 한다.
穩 結構平正曰穩.
온 결구가 평평하고 바른 것을 ‘온’이라 한다.
快 興趣不停曰快.
쾌 흥취가 멈추지 않는 것을 ‘쾌’라 한다.
沈 深而意遠曰沈.
침 깊고 뜻이 심원한 것을 ‘침’이라 한다.
緊 團合密致曰緊.
긴 모이고 합함이 조밀하게 이루어진 것을 ‘긴’이라 한다.
慢 擧止閑詳曰慢.
만 행동거지가 한가하고 자상한 것을 ‘만’이라 한다.
浮 若無所歸曰浮.
부 마치 돌아갈 곳이 없는 것 같은 것을 ‘부’라 한다.
密 間不容發曰密.
밀 사이에 터럭을 허용하지 않음을 ‘밀’이라 한다.
淺 涉于俗流曰淺.
천 세속의 흐름을 섭렵하는 것을 ‘천’이라 한다.
豊 筆墨相副曰豊.
풍 붓과 먹이 서로 돕는 것을 ‘풍’이라 한다.
茂 字外精多曰茂.
무 글자 밖에 성정이 많은 것을 ‘무’라 한다.
實 氣感風雲曰實.
실 기운에서 바람과 구름을 느끼는 것을 ‘실’이라 한다.
輕 筆道流便曰輕.
경 붓의 이치가 편리함으로 흐르는 것을 ‘경’이라 한다.
'서예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안진경 쟁좌위고 해석 (0) | 2013.12.17 |
---|---|
孫過庭 書譜 (0) | 2013.12.17 |
[스크랩] 서원교필결후 설명 (0) | 2009.12.25 |
[스크랩] 팔병(八病) (0) | 2009.08.29 |
[스크랩] 고구려 서풍의 특징과 독창적 미의식 (0) | 2009.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