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원문] 동다송 - 초의선사

2009. 9. 25. 08:23동다송 가사등

반응형

 

동다송 (東茶頌)

 

 

1.

 

后皇嘉樹配橘德  受命不遷生南國  密葉鬪霰貫冬靑  素花濯霜發秋榮  姑射仙子粉肌潔  閻浮檀金芳心結

후황가수배귤덕  수명불천생남국  밀엽투산관동청  소화탁상발추영  고야선자분기결  염부단금방심결

 

- 易註 

茶樹 如瓜蘆 葉如梔子 花如白薔薇 心黃如金 當秋開花 淸香隱然云

다수 여과로 엽여치자 화여백장미 심황여금 당추개화 청향은연운

 

2.

 

沆瀣漱淸碧玉條  朝霞含潤翠禽舌

항해수청벽옥조  조하함윤취금설

 

- 易註

李白云 荊州 玉泉寺 靑溪諸山 有茗艸羅生 枝葉如碧玉 玉泉眞公 常采飮

이백운 형주 옥천사 청계제산 유명초라생 지엽여벽옥 옥천진공 상채음

 

이백이 말하길, "형주 옥천사의 푸른 계곡과 여러 산에는 차나무와 풀이 많이 자라는데, 가지와 잎이 마치 벽옥과도 같다. 옥천의 진공은 늘 (차를) 따서 마신다."

 

3.

 

天仙人鬼俱愛重  知爾爲物誠奇絶  炎帝會嘗載食經

천선인귀구애중  지이위물성기절  염제증상재식경

 

- 易註   

炎帝 食經云 茶茗久服 人 有力悅志云

염제 식경운 다명구복 인 유력열지운

 

4.

 

醍醐  甘露舊傳名

제호  감로구전명

 

- 易註   

王子尙 詣雲齋道人 于八公山 道人 說茶茗 子尙 味之曰 此甘露也 羅大經 瀹湯詩

왕자상 예운재도인 우팔공산 도인 설다명 자상 미지왈 차감로야 라대경 약탕시

 

松風檜雨到來初 急引銅甁離竹爐 待得聲聞俱寂後 一甌春雪勝醍醐

송풍회우도래초 급인동병이죽로 대득성문구적후 일구춘설승제호


5.

 

解醒少眠證周聖

해성소면증주성

 

- 易註  

爾雅 檟茶苦 廣雅 荊巴間采葉 其飮醒酒 令人少眠

이아 가다고 광아 형파간채엽 기음성주 영인소면

 

6.

 

脫粟伴菜聞齊嬰

탈속반채문제영

 

- 易註   

晏子春秋 영相齊景公時 食脫粟飯 炙三戈五卵 茗菜而已

안자춘추 영상제경공시 식탈속반 자삼고오란 명채이이

 

7.

 

虞洪薦餼乞丹邱  毛仙示甌引秦精

우홍천희걸단구  모선시구인진정

 

- 易註  

神異記 餘姚虞洪 入山采茗 遇一 道士 牽三靑牛 引洪至瀑布山曰予 丹邱子也 聞子

신이기 여요우홍 입산채명 우일 도사 견삼청우 인홍지폭포산왈여 단구자야 문자

 

善具飮 常思見惠 山中 有大茗 可相給 祈子他日 有甌餼之餘 乞相遺也 回奠祀後入山

선구음 상사견혜 산중 유대명 가상급 기자타일 유구희지여 걸상유야 회존사후입산

 

常獲大茗宣城人秦精 入武昌山中採茗 遇一毛人 長丈餘 引精至山下 示以叢茗而去 俄而復還

상획대명선성인진정 입무창산중채명 우일모인 장장여 인정지산하 시이총명이거 아이복환

 

乃探懷中橘 以遺精 精怖負茗而歸

내탐화중귤 이유정 정포부명이귀

 

8.

 

潛壤不惜謝萬錢

잠양불석사만전

 

- 易註    

異苑 剡縣 陳務妻 少與二子寡居 好飮茶茗 宅中有古塚 每飮輒先祀之 二子曰 古塚何知

이원 섬현 진무처 소여이자과거 호음차명 택중유고총 매음첩선제지 이자왈 고총하지

   

徒勞人意 欲堀去之 母禁而止 其夜夢 一人云 吾止此三百年餘 鄕子 常欲見毁 賴相保護

도로인의 욕굴거지 모금이지 기야몽 일인운 오지차삼백년여 경자 상욕견혜 뢰상보호

   

反享佳茗 雖潛壤朽骨 豈忘翳桑之報 及曉 於庭中 獲錢十萬金

반향가명 수잠양후골 기망예상지보 급효 어정중 획전십만금


9.

 

鼎食獨稱冠六情

정식독칭관육정

 

- 易註

張孟陽 登樓詩 鼎食隨時進 百和妙具殊 芳茶冠六情 溢味播九區

장맹양 등루시 정식수시진 백화묘구수 방다관육정 일미파구구

 

10.

 

開皇醫腦傳異事 

개황의뇌전이사

 

- 易註  

隋文帝 微時夢 神易其腦骨 自爾而痛 忽遇一僧云 山中茗草可治 帝服之有效  於是 天下 始知飮茶

수문제 미시몽 신이기뇌골 자이이통 홀우일승운 산중명초가치 제복지유효  어시 천하 시지음다

   

11.

 

雷笑茸香取次生 

뇌소용향취차생

 

- 易註    

唐 覺林寺僧 志崇 製茶三品 驚雷笑 自奉 萱草帶 供佛 柴茸香 待客

당 각림사승 지숭 제다삼품 경뢰소 자봉 휜초대 공불 자용향 대객

 

12.

 

巨唐尙食羞百珍  沁園唯獨記紫英

거당상식수백진  심원유독기자영

 

- 易註   

唐德宗 每賜同昌公主饌 基茶 有綠花 紫英之號

당덕종 매사동창공주찬 기다 유녹화 자영지호

 

13.

 

法製頭綱從此盛  淸賢名士誇雋永

법제두강종차성  청현명사과준영

 

- 易註   

茶經 稱茶味 雋永

다경 칭다미 준영

 

14.

 

綵莊龍鳳轉巧麗  費盡萬金成百餠

채장용봉전교려  비진만금성백병

 

- 易註   

大小龍鳳團 始於丁謂 成於蔡君謨  以香藥合而成餠 餠上 飾以龍鳳紋  供御者 以金莊成

대소용봉단 시어정위 성어채군모  이향약합이성병 병상 식이용봉문  공어자 이금장성

    

東坡詩 紫金百餠 費盡萬錢

동파시 자금백병 비진만금

 

15.

 

誰知自饒眞色香  一經點染失眞性

수지자요진색향  일경점염실진성

 

- 易註   

萬寶全書 茶自有 眞香 眞味 眞色  一經他物點染 便失其眞

만보전서 다자유 진향 진미 진색  일경타물점염 변실기진

 

16.

 

道人雅欲全其嘉  曾向蒙頂手栽那  養得五斤獻君王  吉祥蘂與聖楊花

도인아욕전기가  증향몽정수재나  약득오근헌군왕  길상예여성양화


- 易註   

傅大士 自住蒙頂 結庵種茶 凡三年 得絶嘉者 號聖楊花 吉祥蘂 共五斤 持歸供獻

부대사 자주몽정 결암종다 범삼년 득절가자 호성양화 길상예 공오근 지귀공헌

 

17.

 

雪花雲腴爭芳烈  雙井日注喧江浙

설화운유쟁방열  쌍정일주흰강절

 

- 易註   

東坡詩 雪花兩脚 何足道 山谷詩 我家江南採雲腴 東坡 至僧院 僧梵英 葺治堂宇

동파시 설화양각 하족도 산곡시 아가강남채운유 동파 지승원 승범영 즙치당우

   

嚴潔 茗飮芳烈 問此新茶耶 英曰 茶性 新舊交則香味復 草茶 成兩浙而兩浙之茶品

엄결 명음방열 문차신다야 영왈 다성 신구교즉향미복 초다 성양절이양절지다품

   

日注 爲第一 自景祐以來 洪州雙井白芽漸盛 近世製作 尤精 其品 遠出日注之上  遂爲草茶第一

일주 위제일 자경우이래 홍주쌍정백아점성 근세제작 우정 기품 원출일주지상 수위초다제일

 

18.

 

建陽丹山碧水鄕  品製特尊雲澗月

건양단산벽수향   품제특존운간월

 

- 易註   

遯齋閑覽 建安茶 爲天下第一 孫樵 送茶焦形部曰 晩甘候十五人 遣侍齋閤 此徒乘雷而摘

둔재한람 건안차 위천하제일 손초 송다초형부일 만감후십오인 견시재합 차도승뢰이적

   

拜水而和 盖建陽丹山碧水之鄕 月澗雲龕之品 愼勿賤用 晩甘候 茶名 茶山先生 乞茗疏

배수이화 개건양단산벽수지향 월간운감지품 신물천용 만감후 다명 다산선생 걸명소

   

朝華始起 浮雲皛皛於晴天 午睡初醒 明月離離於碧澗

조하시기 부운효효시청천 오수초성 명월이리어벽간

 

19.

 

東國所産元相同  色香氣味論一功  陸安之味蒙山藥  古人高判兼兩宗

동국소산원상동  색향기미론일공  육안지미몽산약  고인고판겸양종

 

- 易註    

東茶記云 或疑東茶之效 不及越産 以余觀之 色香氣味 少無差異 茶書云 陸安茶以味以勝

동다기운 혹의동다지효 불급월산 이여관지 색향기미 소무차이 다서운 육안다이미이승

   

蒙山茶以藥勝 東茶盖兼之矣 若有李贊皇陸子羽 其人 必以余言爲然也

몽산다이약승 동다개겸지의 약유이찬황 육자우 기인 필이여언위연야

 

20.

 

還童振枯神驗速  八耋顔如夭桃紅

환동진고신험속  팔질안여요도홍

 

- 易註   

李白云 玉泉眞公 年八十 顔色如桃李 此茗香淸 異于他 所以能還童振枯而 令人長壽也

이백운 옥천진공 년팔십 안색여도이 차명향청 이우타 소이능환동진고이 영인장수야

 

이백이 말하길, "옥천의 진공은 나이 여든이어도 얼굴빛이 복숭아나 오얏과 같다. 이 차의 향은 맑고 다른 곳과 달라서, 능히 젊음을 되돌리고 말라버린 것을 살아나게 하여 사람으로 하여 장수케 한다."

 

21.

 

我有乳泉 挹成秀碧百壽湯  何以持歸 木覓山前獻海翁 

아유유천 읍성수벽백수탕  하이지귀 목면산전헌해옹

 

- 易註    

唐蘇廙 著十六湯品 第三曰百壽湯 人過百息 水逾十沸 或以話阻 或以事廢 如取用之

당소이 저십육탕품 제삼왈백수탕 인과백식 수유십비 혹이화조 혹이사폐 여취용지

   

湯已失性矣 敢問皤鬢蒼顔之 老夫 還可執弓扶矢以取中乎 還可雄闊步以邁遠乎 第八曰秀碧湯

탕기실성이 감문파빈창안지 노부 환가집궁부시이취중호 환가웅활보이매원호 제팔왈수벽탕

   

石凝天地秀氣而賦形 者也 琢而爲器 秀猶在焉 其湯不良 未之有也 近酉堂大爺 南過頭輪 

석응천지수기이부형 자야 탁이위기 수유재언 기탕불량 미지유야 근유당대야 남과두륜

   

一宿紫芋山房 嘗其泉曰 味勝酥酪   

일숙자우산방 상기천왈 미승소락

 

22.

 

又有九難四香玄妙用 

우유구난사향현묘용

 

- 易註 -

   

茶經云 茶有九難 一曰造 二曰別 三曰器 四曰火 五曰水 六曰灸 七曰末 八曰煮 九曰飮

다경운 다유구난 일왈조 이왈별 삼왈기 사왈화 오왈수 육왈적 칠왈말 팔왈자 구왈음

   

陰采夜焙 非造也 嚼味嗅香 則非別也 羶鼎腥甌 非器也 膏薪庖炭 非火也 飛湍壅潦 非水也

음채야배 비조야 작미후향 즉비별야 전정성구 비기야 고신포탄 비화야 비단옹료 비수야

   

外熟內生 非炙也 碧粉飄塵 非末也 操艱攪遽 非煮也 夏興冬廢 非飮也 萬寶全書 茶有眞香

외숙내생 비적야 벽분표진 비말야 조간교거 비자야 하여동폐 비음야 만보전서 다유진향

   

有蘭香 有淸香 有純香 表裏如一曰純香 不生不熟曰淸香 火候均停曰蘭香雨前神具曰眞香  此謂四香

유난향 유청향 유순향 표리여일왈순향 불생불숙 왈청향화후균정왈난향 우전신구왈진향 차위사향

  

23.

 

何以敎汝玉浮臺上坐禪衆 

하이교녀옥부대상좌선중

 

- 易註   

智異山 花開洞 茶樹羅生四五十里 東國茶田之廣 料無過此者 洞有玉浮臺 臺下 有七佛禪院

지리산 화개동 다수라생사오십리 동국다전지광 료무과차자 동유옥부대 대하 유칠불선원

   

坐禪者 常晩取老葉 晒乾然柴 煮鼎 如烹菜羹 濃濁色赤 味甚苦澁 政所云 天下好茶  多爲俗手所壞

좌선자 상만취노엽 쇄건연시 자정 여팽채갱 농탁색적 미기고삽 정소운 천하호다  다위속수소괴

   

24.

 

九難不犯四香全  至味可獻九重供  翠濤綠香纔入朝

구난불범사향전  지미가헌구중공  취도녹향재입조

 

- 易註  

入朝于心君 茶序曰 甌泛翠濤 碾飛綠屑 又云 茶以靑翠爲勝 濤以藍白爲佳 黃黑紅昏 俱不入品

입조우심군 다서왈 구범취도 연비녹설 우운 다이청취위승 도이남백위가 황흑홍혼 구불입품

   

雲濤爲上 翠濤爲中 黃濤爲下 陳麋公詩 綺陰贊盖 靈艸試旗 竹爐幽討 松火恕飛 水交以淡

운도이상 취도위중 황도위하 진미공시 기음찬개 영초시기 죽로유토 송화노비 수교이담

 

茗戰以肥 綠香滿路 永日忘歸

명전이비 녹향만로 영일망귀

 

25.

 

聰明四達無滯壅  신爾靈根托神山

총명사달무체옹  신이영근탁신산

 

- 易註   

智異山 世稱 方丈

지리산 세칭 방장

 

26.

 

仙風玉骨自另種  綠芽紫筍穿雲根  胡靴犎臆皺水紋

선풍옥골자령종  녹아자순천운근  호화봉억추수문


- 易註

茶經云 生爛石者爲上 礫壤者次之 又曰 谷中者爲上 花開洞茶田 皆谷中兼爛石矣 茶書又言

다경운 생난석자위상 역양자차지 우왈 곡중자위상 화개동다전 개곡중겸난석이 다서우언

   

茶紫者爲上 皺者次之 綠者次之 如筍者爲上 似芽者次之 其狀如胡人靴者蹙縮然 如犎牛臆者

다자자위상 추자차지 녹차차지 여순자위상 시아자차지 기상여호인화자축축연 여봉우억자

   

廉沾然 如輕飇拂衣者 涵澹然 此皆茶之精腴也

렴첨연 여경표불의자함담연 차개다지정유야

 

27.

 

吸盡瀼瀼淸夜露  三昧手中上奇芬

흡진양양청야로  삼매수중상기분

 

- 易註 

茶書云 採茶之候 貴及時 太早則香不全 遲則神散 以穀雨前五日爲上 後五日次之

다서운 채다지후 귀급시 태조즉향부전 지즉신산 이곡우전오일위상 후오일차지

   

後五日又次之 然驗之東茶 穀雨前後太早 當以立夏前後 爲及時也 其採法 撤夜無雲

후오일우차지 연험지동다 곡우전후태조 당이입하전후 위급시야 기채법 철야무운


浥露採者爲上 日中採者次之 陰雨下不宜采 老坡 送謙師詩 道人 曉出南屛山 來試點茶三昧手

읍로채자위상 일중채자차지 음우하불의채 노파송겸사시 도인 효출남병산 래시점다삼매수

 

28.

 

中有玄微妙難顯  眞精莫敎體神分

중유현미묘난현  진정막교체신분


- 易註

造茶篇云 新採揀去老葉 熱鍋焙之 候鍋極熱 始下茶急炒 火不可緩 待熟方退 撤入篩中

조다편운 신채간거노엽 열과배지 후과극열 시하다급초 화불과완 대숙방퇴 철입사중

   

輕團枷數遍 復下鍋中 漸漸減火 焙乾爲度 中有玄微 難以言顯 泉品云 茶者水之神

경단가수편 부하과중 점점감화 배건위도 중유현미 난이언현 품천운 다자수지신

   

水者茶之體 非眞水 莫顯其神 非眞茶 莫窺其體 

수자다지체 비진수 막현기신 비진다 막궁기체

 

29.

 

體神雖全猶恐過中正  中正不過健靈倂

체신수전유공과중정  중정불과건영병

 

- 易註

泡法云 探湯純熟 便取起 先注壺中 小許盪祛冷氣 傾出然後 投茶葉 多寡宜酌 不可過中正失

포법운 탐탕순숙 변취기 선주호중 소허탕거냉기 경출연후 투다엽 다과의작 불가과중정실

    

茶重則味苦香沈 水勝則氣寡色淸 兩壺後 又冷水 蕩滌 使壺凉潔 否則減茶香 盖罐熱則

다중즉미고향침 수승즉기과색청 양호후 우냉수 탕척 변호량결 부즉감차향 개관열즉


茶神不健 壺淸則水性當靈 稍候茶水沖和然後 分釃布飮 釃不宜早 早則茶神不發 飮不宜遲

다신불건 호청즉수성당령 초후다수충화연후 분시포음 시불의조 조즉다신불발 음불의지

   

遲則妙馥先消 評曰 采盡其妙 造盡其精 水得其眞 泡得其中 體與神相和 健與靈相倂 至此  茶道盡矣

지즉묘복선소 평왈 채진기묘 조진기정 수득기진 포득기중 체여신상화 건여령상병 지차  다도진이

 

30.

 

一傾玉花風生腋  身輕已涉上淸境

일경옥화풍생액  신경이섭상청경

 

- 易註   

陳簡齋茶詩 嘗此玉花匂 盧玉川茶歌 唯覺兩腋習習生淸風

진간재다시 상차옥화내 노옥천다가 유각양액습습생청풍

 

31.

 

明月爲燭兼爲友 白雲鋪席因作屛 竹籟松濤俱蕭凉 淸寒瑩骨心肝惺 惟許白雲明月爲二客  道人座上此爲勝

명월위촉겸위우 백운포석인작병 죽뢰송도구소경 청한형골심간성 유허백운명월위이객  도인좌상차위승

 

- 易註   

飮茶之法 客衆則喧 喧則雅趣索然 獨啜曰神 二客曰勝 三四曰趣 五六曰泛 七八曰施也  

음다지법 객중즉흰 흰즉아취색연 독철왈신 이객왈승 삼사왈취 오육왈범 칠팔왈시야

   

32.

 

艸衣新試綠香煙  禽舌初纖穀雨前  莫數丹山雲澗月  滿鍾雷笑可廷年

초의신시녹향연  금설초섬곡우전  막수단산운간월  만종뇌소가정년


申承旨 白坡居士 題

신승지 백파거사 제

 

* 한글 2007에서 작성한 파일 첨부합니다. 

판본에 따라 몇몇 한자가 다를 수도 있음을 미리 밝히며, 개인용도로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동다송(초의선사)2007.hwp

 

출처 : 魔女, 大魔王을 꿈꾸다
글쓴이 : 淵霞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