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이론(38)
-
[스크랩] 대나무 그리고 화제 골라쓰기,,
■ 대나무의 화제 ■ ⊙ 格淸貌古(격청모고) - 격은 맑고 모습 예스럽다. ⊙ 勁質貞心(경질정심) - 굳센 바탕 곧은 마음. ⊙ 高竿垂綠(고간수록) - 높은 대나무의 줄기 푸르름을 드리우고 있다. ⊙ 交幹拂雲(교간불운) - 대나무 줄기가 엇갈리어 구름을 쓸고 있다. ⊙ 綠竹靑靑(녹죽청청) - 푸른 대나무가 ..
2006.03.06 -
[스크랩] 한글의 자형변천(1/20) 귀한 자료입니다)
한글의 자형 변천(2-5) 한국서예사연구소 부설 삼도서화원 img1F2.tmp.jpg
2006.03.06 -
[스크랩] 반흘림 기초 체본4
1, 한번 설명한적 있슴^^ 2, 짧은 ㅣ획의 연결은 (ㅜ획과 받침 ㄱ이 다음 글자와 연결)가볍게 처리 해야~~무거우면 둔탁... 1, 진행 방향을 처다 본 다음 운필 2, 어깨가 으쓱해 지지 않도록 해서 둥글게 3, 가로획이 이응을 덮어야 하며 4, 길이를 같게 5, 획속으로 연결 6, 떼고 쓸수도 있고.. 7, 가로획에 완..
2006.03.06 -
[스크랩] 훈민정음
출처 : 서예세상글쓴이 : 三道軒정태수 원글보기메모 :
2006.03.06 -
[스크랩] 인장과 전각의 의미(김양동 글 펌)
金 洋 東 (篆刻書藝家) 인장의 사용은 중국에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그것의 발명은 신석기시대 질그릇에 문양을 찍는 것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보는 설이 있다. 도기의 문식(紋飾)을 처음에는 두드려서 만들다가 나중에는 문양을 새긴 도구로 압인(壓印)하여 凹凸의 화문(花紋)을 만든 것이 원초적인 인..
2006.03.06 -
[스크랩] 예서에 관하여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 예 서(隸書) 예기비(禮器碑) 전체의 이름은 [노상한칙조공묘예기비(魯相韓勅造孔廟禮器碑)]로 漢나라 영수2년(156년)에 세워졌으며, 현재는 곡부의 공자묘에 안치되어 있는데 보존 상태가 아주 좋다. 서법이 가늘면서도 강하고 웅건하며 단정하고, 아름다우면서도 표일한 맛..
2006.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