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상량 서식 참고로 올려드립니다.

2009. 8. 22. 20:21상량문,제문,비문 등

반응형

  상량문은 머리에 거꾸로 된 '용(龍)'자, 밑에는 '귀(龜)'자를 쓰고, 가운데는 모년 모월 모일 입주상량(立柱上樑)이라 쓰기도 하고

 

  좌측이나 밑에 '응천상지오광(應天上之五光) 비지상지오복(備地上之五福)' 등 축원의 글귀를 쓰기도 합니다.

 

  날짜의 연월일시는 단기 혹은 서기 어느 것이든 구애받을 필요가 없습니다.

 

  축원문을 별도로 지어서 상량기념 판자에 홈을 파고 집어넣기도 합니다.

 

  고정된 양식은 없습니다.

  상량했음을 기념하기 위함이니 형식에 구애받을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사진을 첨부해 드리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저는 좌측 양식을 많이 써봤는데, 연도는 서기나 간지로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출처 : 서예세상
글쓴이 : 인당(仁堂) 원글보기
메모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