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다송 가사등(11)
-
시조의 이해
시조의 이해 시조(時調)는 한국 고유의 정형시이다. 시조 이전의 모든 시형(詩型)은 시조의 발생을 위한 준 비이고, 시조 이래의 시형들은 시조에서 분파한 형식이라 할 만하다. 민족 생리에서 우러나오지 않은 시형들은 일시적으로 각광을 받았다 하더라도 곧 도태되게 마련이었다. 그러나 시조만은 7..
2009.03.05 -
[스크랩] 어부가(농암 이현보)
출처 : 晛溪亭글쓴이 : 晛溪亭 원글보기메모 :
2009.02.14 -
[스크랩] 推句(추구)集 全文
天高日月明(천고일월명) : 하늘이 높으니 해와 달이 밝고 地厚草木生(지후초목생) : 땅이 두터우니 풀과 나무가 자란다. 月出天開眼(월출천개안) : 달이 나오니 하늘이 눈을 뜬 것이요 山高地擧頭(산고지거두) : 산이 높으니 땅이 머리를 든 것이다. 東西幾萬里(동서기만리) : 동서는 몇 만리인지 알 수 ..
2009.02.14 -
[스크랩] 오우가 (五友歌)
五 友 歌 오우가 (五友歌) 내 버디 몃치나 하니 수석(水石)과 송죽(松竹)이라 동산(東山)의 달 오르니 긔 더옥 반갑고야 두어라 이 다삿 밧긔 또 더하야 머엇하리 내 벗이 몇이나 헤아려 보니 물 돌과 松竹이라. 동산에 달 떠오르니 그 더욱 반가운 일이로다. 이 다섯 이면 그만이지, 다른 것 더 있은들 무..
2009.02.13 -
[스크랩] 동다송(東茶頌)
동다송(東茶頌) <동다송>은 해거도인(海居道人)의 부탁으로 사문(沙門)의 초의(艸衣) 장의순(張意恂)이 지었음. ▷ 동다송 : 68행의 장편 7언 고시체 송시(頌詩). 차(茶)의 덕을 칭송하여 이를 널리 찬미함이니 곧 우리나라(東國이란 중국을 중심에 두고 하는 말이므로 이하 우리나라로 번역함)에서 ..
2009.02.10